바르 (몬테네그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Bar)는 몬테네그로의 해안 도시다. 아드리아 해를 사이에 두고 이탈리아의 바리와 마주보고 있으며, 슬라브어로 바리 맞은편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고대 일리리아인들의 흔적이 남아있고, 6세기에 로마 요새가 재건된 후 10세기에 안티바리움으로 처음 언급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슬라브족 국가 두클랴의 지배를 받았고,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만 제국을 거쳐 1878년 몬테네그로에 할양되었다. 바르는 몬테네그로의 주요 항구 도시로,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와 습윤 아열대 기후의 경계에 위치하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바르 항구, 베오그라드-바르 철도, 소지나 터널을 통해 경제적 활동이 이루어지며, 여러 스포츠 클럽과 자매 도시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바르 (몬테네그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바르 |
현지 이름 | 바르 |
현지 이름 (언어 코드) | cnr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지리적 분류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공식 이름 | 해당 없음 |
별칭 | 해당 없음 |
![]() | |
![]() | |
![]() | |
국가 | 몬테네그로 |
지역 | 해안 |
지방 자치체 | 바르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하계 시간제 | CEST |
UTC 오프셋 (하계) | +2 |
인구 (2023년 기준) | 2023년 인구 조사 |
인구 순위 | 몬테네그로에서 3번째 |
지방 자치체 인구 | 46,171명 (증가) |
도시 인구 | 15,868명 (증가) |
농촌 인구 | 30,303명 (증가) |
인구 통칭 | 바라니 |
구성 | 85개 정착지 |
좌표 | 42.10°N 19.10°E |
지역 번호 | +382 30 |
차량 번호판 | BR |
우편 번호 | 85000 |
ISO 3166-2 코드 | ME-02 |
기후 | Csa, Cfa |
웹사이트 | 바르 공식 웹사이트 |
깃발 이미지 | Flag of Bar, Montenegro.svg |
방패 이미지 | Coat of Arms of Bar Montenegro.svg |
행정 | |
정치 체제 | 시장-의회 |
시장 | 두샨 라이체비치 (DPS) |
시장 소속 정당 | 해당 없음 |
면적 | |
총 면적 | 598 제곱킬로미터 |
2. 이름
바르는 슬라브식 지명인 '안티바리'의 축약형으로 여겨진다.[2][5] 이 이름은 라틴어 '안티바룸(Antibarum)' 또는 '안티바리(Antibari)'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그리스어에서 발음상의 이유로 '안티바리온(Antivárion) / 안티바리(Antivari)'로 변형되었다. "안티바리"는 "이탈리아의 바리 맞은편"이라는 뜻으로, 아드리아해를 사이에 두고 이탈리아 바리와 마주보고 있는 지리적 위치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3]
몬테네그로어와 세르비아어에서는 바르(Bar/Барsr)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탈리아어로는 안티바리(Antivariit) 또는 안티바리(Antibariit), 알바니아어로는 티바리(Tivarisq), 그리스어로는 안티바리온(Αντιβάριονel) 또는 티바리온(Θηβάριονel)이라고 불린다. 바르의 명칭은 아드리아해를 사이에 두고 이탈리아에 위치한 도시 바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언어에서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 이탈리아어: '안티바리(Antivari / Antibari)'
- 알바니아어: '티바리(Tivari)' 또는 '티바르(Tivar)'
- 튀르키예어: '바르(Bar)'
- 그리스어: '티바리온(Thivárion)', '안티바리온(Antivárion)'
- 라틴어: '안티바리움(Antibarium)'
3. 역사
바르는 유구한 역사를 지닌 도시이다. 도시 건설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5] 6세기에 재건된 로마 성채인 '안티파르갈'(Antipargal)이 바르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안티바리움'(Antibarium)이라는 이름은 10세기에 처음 언급되었다.
6~7세기경 슬라브족이 발칸 반도를 점령했고, 10세기에는 두클랴라는 슬라브족 국가가 나타났다. 요반 블라디미르(재위 1000–1016)는 두클랴의 첫 번째 통치자로 기록되어 있다. 보이슬라블레비치 왕조의 창시자인 스테판 보이슬라브(재위 1018–1043)는 바르 인근 전투에서 비잔틴 제국을 격파하고 바르를 수도로 삼았다. 그의 아들 두클랴의 미하일로 1세(재위 1050–1081)는 안티바리 대주교구를 설립하고 독립을 위해 비잔틴 제국과 싸웠다. 1101년부터 1166년까지는 부카노비치 왕조가 통치했으나, 이후 1183년까지 바르는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183년, 스테판 네마냐가 바르를 정복하고 파괴했으며, 1360년까지 네마니치 왕조가 통치했다. 1360년부터는 발시치 귀족 가문이 지배했고, 옐레나 여왕과 발샤 3세가 수도를 이곳에 두었다.[4][5]
1405년부터 1412년까지 베네치아가 바르를 지배하면서 도시는 크게 성장했다. 베네치아는 바르에 자치권, 사법권, 화폐 발행권 등을 부여하여 도시 국가로 발전시켰다.[5] 1443년부터 1571년까지 베네치아는 이곳을 '안티바리'라고 부르며 베네치아 알바니아의 일부로 통치했다. 안티바리는 자체 문장, 깃발, 법령, 조폐국을 가졌다.[6]
1571년, 오스만 제국이 안티바리를 점령하여 1878년까지 지배했다. 대주교 관구는 유지되었지만, 오스만 제국의 정복으로 가톨릭 교회와 바르 대교구는 붕괴되기 시작했다. 원주민들이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하면서 새로운 민족적, 종교적 요소가 유입되었고, 가톨릭 사제 부족으로 교구 전체가 정교회로 개종되기도 했다.[6]
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한 후, 베를린 조약을 통해 안티바리(바르)는 몬테네그로에 할양되었다. 몬테네그로는 헤르체고비나와 노비파자르 산자크로 확장하려 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팽창으로 좌절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러시아의 협상 결과, 바르 항구는 군사적으로 중립화되고, 항구 내 몬테네그로 선박 수는 제한되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바르 해안선 순찰 권한을 얻었다.[7]
1885년, 니콜라 1세 국왕의 성이 건설되었다. 이 성은 딸 조르카 공주와 사위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를 위해 지어졌으며, 예배당, 망루, 겨울 정원, 작은 성과 큰 성, 공원 등이 있었다. 성 앞에는 나무 부두와 이탈리아 왕의 선물인 꽃집, 음식점 "''크냐제바 바슈타''"가 있었다. 이 성 단지는 현재 바르 헤리티지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몬테네그로 정교회 국가에서 바르는 인구 감소를 겪었는데, 많은 무슬림 주민들이 도시를 떠나거나 추방되었기 때문이다. 1879년 인구 조사에서 주민은 1,879명이었고, 무슬림은 30.9%, 정교회 신자와 가톨릭교도(주로 알바니아인)는 24.6%였다.[8]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몬테네그로인들이 도시를 되찾았지만, 전쟁으로 파괴되어 생활을 조직하기 어려웠다. 주민들은 포드그라제로 이주했고, 20세기 초 볼루이차 아래에 프리스탄(노비 바르)이 형성되었다.[5]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니콜라 테슬라의 특허 기술을 사용하여 1904년 8월 30일 안티바리(바르)와 바리 사이에 무선 통신을 연결했다. 1908년에는 발칸 반도 최초의 철도가 개통되었다.
1914년 8월,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전쟁 선포에 대응하여 안티바리 항구를 포격했다. 안티바리 해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의 SMS ''젠타''는 프랑스 함대에 의해 침몰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15년까지 지속적으로 안티바리 항구를 포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9] 1918년 바르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945년, 바르 학살이 발생하여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바르의 알바니아인들을 학살했다.
1976년, 프리스탄은 항구 확장으로 철거되었고, 주민들은 토폴리카로 이주했다. 1979년 지진 이후 바르는 인구가 증가했다. 1990년까지 바르는 유고슬라비아 SFR의 중요한 항구 중 하나였으며, 1959년 바르-티토그라드 도로와 1976년 바르-베오그라드 도로 개통으로 발전했다.[10] 2014년 몬테네그로가 중국과 고속도로 건설 계약을 체결하면서(일대일로 구상의 일부), 바르 주변 토지가 담보로 합의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중국 수출입 은행이 자금을 지원했으며, 계약 분쟁은 중국 법원을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11][12][13]
3. 1. 고대
바르는 역사적인 도시로, 도시 건설 시기는 역사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방대한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선사 시대부터 이 지역에 사람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5] 지역 고고학적 발견은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바르는 6세기에 재건된 로마 성채인 '안티파르갈'(Antipargal)로 언급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안티바리움'(Antibarium)이라는 이름은 10세기에 처음 언급되었다. 신석기 시대 이전에도 바르 주변에 사람이 거주했음이 고고학적 발견으로 확인되었다. 고대 일리리아인의 생활 흔적도 남아 있으며, 바르 시내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다.고대 로마 시대에는 도시로서의 바르는 없었지만, 6세기에 로마의 요새 안티파르갈이 재건되었고, 안티바리움이라는 이름으로 10세기에 처음 언급되었다.
3. 2. 중세
6~7세기 경, 슬라브족이 발칸 반도를 점령했다. 10세기에는 슬라브족 국가인 두클랴가 언급되었다. 스카다르스카 크라이나의 요반 블라디미르(재위 1000–1016)는 역사에 기록된 두클랴의 첫 번째 통치자이다. 보이슬라블레비치 왕조의 창시자인 스테판 보이슬라브(재위 1018–1043)는 바르 인근 언덕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비잔틴 제국을 격파하고, 바르를 권력의 중심지로 삼았다. 보이슬라브의 아들인 두클랴의 미하일로 1세(재위 1050–1081)는 안티바리 대주교구를 설립하고, 도시의 독립을 확보하기 위해 비잔틴 제국과의 전투를 지속했다. 1101년부터 1166년까지는 부카노비치 왕조가 이 공국을 통치했으나, 1166년부터 1183년까지 바르는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183년, 스테판 네마냐가 바르를 정복하고 파괴했으며, 1360년까지 네마니치 왕조가 바르를 통치했다. 1360년부터는 발시치 귀족 가문의 지배를 받았고, 옐레나 여왕과 발샤 3세가 그곳에 수도를 세웠다.[4][5]3. 3.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 시대
1405년부터 1412년까지 베네치아가 바르를 지배하면서 도시는 크게 성장했다. 베네치아는 바르에 자치권, 자체 방어, 사법권, 화폐 발행권 등을 부여하여 도시 국가로 발전시켰다.[5] 1443년부터 1571년까지 베네치아는 이곳을 '안티바리'라고 부르며 베네치아 알바니아의 일부로 통치했다. 안티바리는 자체적인 문장, 깃발, 법령, 조폐국을 가진 도시였다.[6]1571년, 오스만 제국은 안티바리를 점령하여 1878년까지 지배했다. 대주교 관구는 유지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정복으로 국경 지역의 가톨릭 교회와 바르 대교구는 붕괴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하기 시작한 원주민들이 새로운 민족적, 종교적 요소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가톨릭 사제의 부족으로 인해, 전체 교구가 정교회로 개종되었다.[6] 같은 해, 오스만 제국은 정교회와 가톨릭 신자를 추방했다.
3. 4. 몬테네그로와 현대
1878년,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패배한 후, 베를린 조약을 통해 안티바리(바르)를 몬테네그로에 할양했다. 몬테네그로의 초기 주요 목표는 헤르체고비나와 노비파자르 산자크로의 확장이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팽창으로 인해 이는 비현실적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스피차 항구를 할양하겠다고 선언했지만, 바르와 다른 지역은 가톨릭교도와 무슬림 알바니아인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다는 이유로 할양하지 않았다. 외무 장관 주라 안드라시 (오스트리아-헝가리)와 표트르 안드레예비치 슈발로프 (러시아) 간의 협상 이후, 헤르체고비나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통제를 러시아가 지지하는 대가로 바르를 몬테네그로에 할양하는 데 합의했다. 바르 항구 자체는 군사적으로 중립화되었고, 항구 내 몬테네그린 선박의 총수는 제한되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바르 해안선의 순찰 권한을 획득했다.[7]1885년, 니콜라 1세 국왕의 성이 건설되었다. 국왕은 딸 조르카 공주와 미래의 사위 페타르 카라조르제비치를 위해 이 성을 지었다. 이 성에는 예배당, 망루, 겨울 정원, 작은 성과 거대한 성, 그리고 공원이 있었다. 구조물 앞에는 배를 정박하기 위한 나무 부두가 있었고, 이탈리아의 에마누엘 국왕의 선물인 독특한 구조의 대규모 꽃집과 "''크냐제바 바슈타''"라는 음식점이 있었다. 이전의 성 단지는 현재 바르 헤리티지 박물관으로, 문화 행사를 개최한다.
새로운 몬테네그린 정교회 국가에서 바르는 도시 인구 감소를 겪었는데, 이는 많은 도시 거주자들이 무슬림이었고, 도시를 떠나거나 추방되었기 때문이다. 1850년대 후반, 이 도시는 4,000명의 주민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중 62.5%가 무슬림이었다. 1878년 이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떠나거나 추방되었다. 몬테네그린 행정 하의 도시의 첫 번째 인구 조사에서, 1879년에는 1,879명의 주민이 기록되었으며, 무슬림은 인구의 30.9%였고, 정교회 (주로 몬테네그린인과 세르비아인) 외에 가톨릭교도 (주로 알바니아인)가 24.6%였다.[8]
러시아-튀르크 전쟁 이후 몬테네그로인들이 도시를 되찾았을 때, 전쟁의 파괴로 인해 도시의 생활을 조직할 수 없었다. 주민들은 먼저 포드그라제로 이주했고, 도시 중심부는 20세기 초 볼루이차 아래에 형성되었다. 이 정착지는 프리스탄(노비 바르)이라고 불린다.[5]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이탈리아 과학자이자 무선 전신의 선구자로, 니콜라 테슬라의 특허 기술을 사용하여 1904년 8월 30일 안티바리(바르)와 바리 사이에 무선 통신을 연결했다. 1908년에는 발칸 반도 이 지역 최초의 철도가 개통되었다.
1914년 8월 8일,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몬테네그로의 전쟁 선포에 대응하여 방호순양함 SMS ''젠타''와 SMS ''시게트바르''를 구축함 SMS ''우스코케''와 어뢰정 ''72F''와 함께 안티바리 항구에 대한 무방비 포격을 수행하도록 파견하여 무선 기지 및 항구 시설을 목표로 삼았다. 이들은 해안 포대에 의해 쫓겨났으며 무선 기지만 파괴되었다. 오스트리아인들은 8월 10일에 몬테네그로 해안선의 공식 봉쇄를 선언했다. 8월 16일, SMS ''젠타''와 동반 구축함은 매우 큰 프랑스 함대(전함 12척 이상)에 의해 안티바리 근처에서 매복하여 갇혔고, 그 후 안티바리 해전에서 ''젠타''는 상당한 인명 피해를 입고 침몰했다. 구축함은 탈출했다. 그 해 9월 1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해안 전함 SMS ''부다페스트''는 지원 함선과 함께 안티바리, 항구 및 시설을 포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고, 10월 17-18일에는 구축함 SMS ''샤르프쉬츠'', SMS ''슈트라이터'' 및 SMS ''울란''이 안티바리 항구를 포격했다. 11월 18일에는 구축함 SMS ''우스코케''도 짧은 포격을 실시했다. 오스트리아인들은 1915년 3월 1-2일 저녁과 밤에 가장 큰 공습을 감행했는데, 구축함 SMS ''치코스'', SMS ''슈트라이터'' 및 SMS ''울란''이 세 척의 어뢰정의 안티바리 항구 진입을 지원했다. 후자는 주요 부두와 해안가의 식량 및 탄약 재고를 파괴했으며, 몬테네그로 왕립 요트 ''루미야''를 나포했는데, 이 요트는 나중에 어뢰 공격을 받았다. 부두의 파괴로 인해 대형 선박이 항구에서 물품을 하역할 수 없게 되어 연합군의 몬테네그로 군대에 대한 식량 및 탄약 수송이 제한되었다. 연합군은 카타로에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 기지가 가까이 있어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9]
1918년 바르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945년, 바르의 알바니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학살되었다. 이 사건은 바르 학살로 알려져 있다.
1976년, 프리스탄은 그 자리에 항구를 확장하기 위해 철거되었다. 주민들은 주로 토폴리카로 이주했는데, 그곳에는 도시화가 되기 전까지 니콜라스 왕의 성 단지밖에 없었다.[5]
1979년의 대규모 지진 이후, 특히 바르 항구의 작업으로 인해 도시에는 인구 증가가 있었다. 1990년까지 바르는 유고슬라비아 SFR의 중요한 항구 중 하나였으며, 투자가 이루어졌고 이 지역의 정치, 산업, 관광, 문화, 스포츠 중심지가 되었다. 이는 1959년 바르-티토그라드 도로와 1976년 바르-베오그라드 도로의 개통으로 특히 기여했다.[10]
2014년 몬테네그로가 중국 정부와 바르에서 세르비아 국경까지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했을 때(일대일로 구상의 일부), 몬테네그로 정부가 10억달러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바르 주변의 넓은 토지가 담보로 합의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중국 수출입 은행이 자금을 지원했다.[11][12] 계약 분쟁은 중국 법원을 통해서만 해결할 수 있다.[13]
4. 지리
바르는 몬테네그로 서부 해안 경계에 위치하며, 아드리아 해 연안에 자리잡고 있다. 몬테네그로의 수도인 포드고리차에서 약 53km 떨어져 있다. 동쪽으로는 남유럽 최대의 호수인 스카다르 호수가 있고, 서쪽 바다 건너편에는 이탈리아가 있다.
바르는 연평균 270일의 맑은 날을 보이며, 연간 평균 일조 시간은 2,160시간에 달한다. 또한, 연간 88일은 남풍이 불어오며, 대부분 겨울에 나타나 아드리아 해에서 따뜻하고 온화한 바람이 불어온다.
스카다르 호는 발칸 반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의 호수로, 몬테네그로 남동부에 위치하며, 루미야 산에 의해 바다와 격리되어 있다. 몬테네그로와 알바니아의 국경이 되고 있지만, 호수의 63%는 몬테네그로 측에 포함되어 있다. 호수에는 수많은 섬들이 떠 있으며, 이 섬들은 "마운트"라고 불린다. 빌파자르에서 클라이나 방향의 호수 만에는 많은 모래사장이 펼쳐져 있으며, 그중 하나인 무리치 해변(Murići)은 길이가 560m나 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펠리칸을 포함한 270종의 조류가 서식하며 희귀 조류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4. 1. 기후
바르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라 습윤 아열대 기후(''Cfa'')와 지중해성 기후(''Csa'')의 경계에 위치한다. 겨울은 춥고 비가 많이 오며, 여름은 일반적으로 더 따뜻하고 건조하며 햇볕이 많이 든다.[15] 연평균 일조 시간은 2523시간이다.[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C) | 12.3°C | 12.9°C | 14.9°C | 17.9°C | 21.9°C | 25.2°C | 27.8°C | 27.8°C | 25.3°C | 21.7°C | 17.3°C | 13.7°C |
평균 최저 기온 (°C) | 4.3°C | 5.1°C | 6.7°C | 9.2°C | 13°C | 16.3°C | 18.4°C | 18.3°C | 15.9°C | 12.6°C | 9.2°C | 5.9°C |
월 강수량 (mm) | 155.6mm | 149.1mm | 130.1mm | 126.1mm | 86mm | 56.5mm | 36.9mm | 53mm | 106.5mm | 139.9mm | 182.2mm | 169.9mm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3 | 13 | 12 | 12 | 9 | 7 | 5 | 5 | 7 | 9 | 14 | 14 |
평균 일조 시간 | 120.9 | 124.2 | 170.9 | 198.9 | 259.7 | 297.4 | 351.5 | 317.3 | 252.1 | 198.8 | 124.6 | 111.6 |
평균 상대 습도 (%) | 65 | 64 | 67 | 71 | 73 | 72 | 68 | 69 | 70 | 68 | 69 | 68 |
바르에서는 눈이 매우 드물게 내리며, 보통 몇 년에 한 번 정도 눈이 내린다. 여름철 최고 기온은 27°C에서 28°C 정도이고 최저 기온은 18°C이다. 여름철 강수량은 적지만 7월에는 평균 4.5일 동안 강수량이 측정된다. 봄과 가을은 온화한 날씨를 보이는 변화기이며 종종 습하고 예측 불가능하다.[29]
4. 2. 동식물
바르 해안 지역에는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월계수, 도금양, 스페인싸리, 협죽도, 산사나무, 가시나무, 가시, 청미래덩굴, 아스파라거스가 있는 마키 관목 지대가 있다. 북쪽과 산에는 떡갈나무와 너도밤나무 숲이 있다. 감귤류(귤, 오렌지, 레몬 등), 석류, 올리브, 포도나무, 무화과는 바르 지역에서 재배된다. 은행나무(Ginkgo biloba)는 니콜라 왕 궁전 공원에서 자란다.스카다르 호에는 펠리컨을 포함한 풍부한 조류 생물이 서식한다. 오스트로스, 루미자, 리신, 수토르만, 소지나에서는 토끼, 오소리, 여우, 늑대, 멧돼지가 사냥감으로 발견된다. 바르 해안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조개, 달팽이, 극피동물, 두족류, 가재를 찾을 수 있다.
5. 인구
바르는 바르 시의 행정 중심지이며, 수토모레와 다른 작은 해안 마을을 포함한다. 2023년 인구 조사에서 바르 시의 인구는 46,171명, 바르의 인구는 15,868명이었다.[19][20]
연도 | 인구 |
---|---|
1948년 | 897[28] |
1953년 | 1,113 |
1961년 | 2,184 |
1971년 | 3,612 |
1981년 | 6,742 |
1991년 | 10,971 |
2003년 | 13,719 |
2011년 | 13,503 |
2023년 | 15,868 |
5. 1. 민족 구성 (2011년)
민족 | 인구 | 비율 |
---|---|---|
몬테네그로인 | 19,553명 | 46.5% |
세르비아인 | 10,656명 | 25.34% |
알바니아인 | 2,515명 | 5.98% |
무슬림 | 3,236명 | 7.7% |
보스니아인 | 2,153명 | 5.12% |
크로아티아인 | 254명 | 0.59% |
로마인 | 203명 | 0.48% |
기타 | 318명 | 0.76% |
무응답 | 2,097명 | 4.99% |
합계 | 42,048명 | 100% |
5. 2. 종교
바르의 주요 종교는 정교회 기독교이다. 그러나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 전통의 교회뿐만 아니라 오스만 제국이 이슬람교 전통으로 지은 모스크도 있다. 바는 요반 블라디미르의 출생지이다. 1089년에는 바 로마 가톨릭 대교구가 설립되어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의 대부분을 포함했다.
바르는 다민족 도시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교가 갈등 없이 공존해 왔다. 바르에서는 정교회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바르 정교회의 역사는 11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바르는 요반 블라디미르(Jovan Vladimir/Јован Владимирsr)의 탄생지이며, 그는 몬테네그로에서 중요하고 유명한 성인이다. 또한 많은 교회와 수도원이 자치구 내에 즐비하며, 슈코다르 호는 때때로 "몬테네그로의 성지"라고 불리기도 한다. 로마 가톨릭은 바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바르는 로마 가톨릭 바르 대교구의 본부이며, 코토르 주변 지역을 제외한 몬테네그로의 대부분을 관할한다. 이슬람교는 108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전래되었다. 많은 모스크가 바르에 있으며, 그 대부분은 스타리 바르 근처에 있다.
종교 | 인구 | 비율 |
---|---|---|
정교회 | 24,452명 | 58.15% |
이슬람교 | 8,315명 | 19.78% |
무슬림 | 4,356명 | 10.36% |
가톨릭교회 | 3,043명 | 7.24% |
불가지론 | 34명 | 0.08% |
무신론 | 415명 | 0.99% |
기타 | 162명 | 0.39% |
무응답 | 1,129명 | 2.69% |
6. 경제
바르의 경제는 바르 항구, 베오그라드-바르 철도, 소지나 터널에 크게 의존한다.
바르 항구는 도시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으로, 3100m의 해안선과 800ha의 육지 면적, 200ha의 수역을 차지하며 연간 500만 톤의 상품을 처리할 수 있다. 바르는 몬테네그로로 들어오는 화물 대부분을 처리하며, 많은 상사 및 소규모 무역업자들이 바르에 본사를 두고 있다.
1976년 개통된 베오그라드-바르 철도는 아드리아 해안을 관광객에게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으며, 바르 항구에 새로운 시장을 제공했다. 철도와 항구 덕분에 바르는 여름철 관광객에 의존하는 다른 해안 도시들과 달리 연중 더 활발한 경제 활동을 보인다.
식품 회사인 '프리모르카'는 50년 이상 바르에서 올리브 오일과 석류 주스를 생산해 왔다. 바르에는 약 95,000그루의 올리브 나무와 80,000그루의 감귤 나무(레몬, 오렌지, 귤, 자몽)가 있다. 1937년에 설립된 아열대 작물 센터는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오래된 과학 기관이다.
관광 또한 바르 경제의 주요 부분이다. 바르는 중소기업 창업과 새로운 공업 지구, 자유 무역 지구 추진이 특징이다.
6. 1. 교통
바르는 몬테네그로 라인에서 운영하는 이탈리아 바리행 페리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22] 성수기에는 이탈리아 안코나행 페리도 운행한다. 바르는 몬테네그로 내륙뿐만 아니라 해안의 다른 지역과도 잘 연결되어 있다. 2006년에 완공된 소지나 터널은 포드고리차와의 도로 연결을 약 50km 단축했다. 바르는 울친에서 헤르체그노비를 거쳐 크로아티아까지 이어지는 아드리아 해안 고속도로를 통해 다른 해안 도시들과 연결된다. 또한 베오그라드-바르 철도의 종착역으로, 포드고리차, 몬테네그로 북부, 세르비아와 연결된다. 포드고리차 공항은 바르에서 약 40km 떨어져 있으며, 베오그라드, 부다페스트, 취리히, 프랑크푸르트, 류블랴나, 런던, 파리, 로마, 비엔나 등 유럽 주요 도시로 가는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7. 스포츠
바에는 체스 클럽을 포함하여 50개가 넘는 스포츠 클럽과 협회가 있다.[1] 주요 축구 클럽은 FK 모르나르이며, 스타디온 토폴리카를 FK 하이두크 바르 및 하위 리그 팀 FK 스로가 바르와 공유한다.[1] KK 모르나르 바르는 지역 농구 클럽이다.[1] 바는 한때 OFK 바르가 2010-11 시즌에 FK 모르나르와 함께 출전하여 1부 리그에 두 팀을 보유했었다.[1]
바 호텔과 학교에는 수많은 스포츠 시설이 있으며, 시내 중심부에는 대부분의 시설이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센터에 있다.[1] 다이빙과 같은 수상 스포츠가 흔하며, 바다와 호수와 가깝기 때문에 스포츠 관광을 장려한다.[1] 바는 2010년 FIBA 유럽 16세 이하 선수권 대회와 2010년 남자 U18 유럽 핸드볼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1]
8. 행정 구역
바르 시는 83개의 정착지로 구성된 12개의 코뮌(mjesna zajednicasr)으로 나뉜다.[1]
코뮌 | 정착지 |
---|---|
바르 I | 중앙 비즈니스 지구 |
바르 II | 폴예, 부르타이시, 첼루가, 레나 일부 |
바르 III | 뱔리시 일부, 소콜라나, 스타라 아물란타, 즈그라데 프르보르차 |
바르 IV | 포포비치, 뱔리시 일부, 아흐메토브 브리예그, 불레티차 브리예그, 레나 및 트르산 일부 |
바르 V | 수스타시, 주프치, 마로비치, 투제밀리 |
슈슈안 | 주코트르리차, 노비 프리스탄, 젤레니 포야스, 일리노, 슈슈안, 차레비치, 비티치 및 팔라디니 |
수토모레 | 브르차, 젤렌, 오발라 젤리에즈니치케 콜로니예, 미로시차 I, 투르케, 포브르제, 고렐라치, 밀예브치, 소지나, 잔코비치, 수비 포토크, 미로시차 II, 즈그라데, 벨리라, 파파니, 하이-네하이, 자그라제, 미시치, 쥬르마니 및 차냐 |
스타리 바르(구 바르) | 스타리 바르, 바우코보, 벨베데르, 벨렘부시, 그레트바, 브르봇, 투르치니, 멘케, 미쿨리치, 포드그라드, 바르툴라, 라프, 고르냐 포다 및 돈냐 포다, 톰바, 고르네 잘예보 및 돈네 잘예보 |
므르코(예)비치 | 페추리체, 도브라 보다, 그르도비치, 펠린코비치, 다베지치, 벨예 셀로, 쿠녜, 벨랴 고라나 및 말라 고라나 |
크라이나 | 아르브네시, 벨리키 오스트로스, 말리 오스트로스, 마르티치, 룬지, 코슈타니차, 보보비슈테, 크클라, 테야니 |
셰스탄 | 리바리, 고르냐 이 도냐 브리스카, 고르니 무리치, 도니 무리치, 베사, 핀치치, 밥술, 셰스탄 |
츠르므니차 | 비르파자르, 오라호보, 브라체니, 미코비치, 자베스, 볼예비치, 소토니치, 부코비크, 마추게, 두필로, 포프라트니차, 코마르노, 트르노보, 고르니 브르첼리, 도니 브르첼리, 브리예게, 오프토치치, 토미치, 우트르그, 고디녜, 세오차, 크르니체, 림리야니, 글루히 도 |
9. 자매 도시
바르는 다음과 같은 자매 도시를 맺고 있다.[23][24]
국가 | 도시 |
---|---|
튀르키예 | Adana|아다나tr |
이탈리아 | Bari|바리it |
세르비아 | Бор|보르sr |
튀르키예 | Bornova|보르노바tr |
러시아 | Череповец|체레포베츠ru |
그리스 | Κέρκυρα|코르푸el |
알바니아 | Elbasan|엘바산sq |
중국 | 虹口区|훙커우 (상하이)중국어 |
튀르키예 | Küçükyalı|퀴취쿠유tr |
세르비아 | Кула|쿨라sr |
러시아 | Курск|쿠르스크ru |
세르비아 | Крагујевац|크라구예바츠sr |
세르비아 | Мали Иђош|말리이조시sr |
슬로베니아 | Maribor|마리보르sl |
우크라이나 | Маріуполь|마리우폴uk |
중국 | 宁波|닝보중국어 |
독일 | Nürnberg|뉘른베르크de |
폴란드 | Piaseczno|피아세치노pl |
러시아 | Подольск|포돌스크ru |
세르비아 | Пожаревац|포자레바츠sr |
북마케도니아 | Ресен|레센mk |
크로아티아 | Vodnjan|보드냔hr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Živinice|지비니체bs |
참조
[1]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f the 2023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https://www.monstat.[...]
Monstat
2024-01-25
[2]
서적
Placenames of the World: Origins and Meanings of the Names for 6,600 Countries, Cities, Territories, Natural Features and Historic Sites
Room A.
2005
[3]
서적
Viaggio in Morea a Costantinopoli ed in Albania non che in molte altre parti dell'Impero Ottomano negli anni 1798, 1799, 1800 e 1801
https://books.google[...]
Stamperia. Alliana
1829
[4]
간행물
Izbjeglištvo kao sudbina – Barani u Mlecima (XIV.–XVII. st.)
https://hrcak.srce.h[...]
2005
[5]
웹사이트
History
https://bar.me/o-bar[...]
[6]
간행물
Dvooltarske crkve na crnogorskom primorju, {Glavni razlozi propadanja katoličke crkve na graničnim područjima, kao što je na primjer barska arhidijeceza jeste emigracija starosjedilačkog stanovništva, ali i imigracija ovog etničkog i vjerskog elementa, koje dovode Turci, "The main reasons for collapse of the Catholic Church in border areas, such as Archdiocese of Bar, are emigration of the indigenous population, but also immigration
https://www.maticacr[...]
2013
[7]
서적
The Serbs and Russian Pan-Slavism, 1875-1878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967
[8]
서적
The Balkan Economies C.1800-1914: Evolution Without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Austro-Hungarian Cruisers and Destroyers 1914–18
Osprey Publishing, U.K.
2016
[10]
서적
Guide to Places of the World
Reader's Digest Association Ltd.
[11]
웹사이트
The billion-dollar motorway leading Montenegro to nowhere
https://www.euronews[...]
2021-05-07
[12]
웹사이트
How A Chinese-Built Highway Drove Montenegro Deep Into Debt
https://www.npr.org/[...]
2021-09-01
[13]
웹사이트
Focus - Montenegro's highway to debt: Unfinished Chinese road comes with strings attached
https://www.france24[...]
2021-08-30
[14]
지도
Montenegro
https://www.google.c[...]
2015-10-23
[15]
논문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www.hydrol-ea[...]
Hydrol. Earth Syst. Sci.
2007
[16]
웹사이트
Bar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9-15
[17]
웹사이트
Climate: Bar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6
[18]
웹사이트
Dnevni prosjeci i ekstremi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18-05
[19]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f the 2023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https://www.monstat.[...]
Monstat
2024-01-25
[20]
서적
Становништво, упоредни преглед броја становника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3, подаци по насељима
Републички завод за статистику
2005
[21]
웹사이트
2011 Montenegrin Census
http://www.monstat.o[...]
Monsta
2011-07-12
[22]
웹사이트
Bar-Bari Ferry
http://montenegrolin[...]
Montenegro Lines.com
[23]
웹사이트
Međunarodna saradnja Opštine Bar
https://bar.me/o-bar[...]
Bar
2022-10-21
[24]
웹사이트
Bratimljenje
http://www.uom.co.me[...]
Zajednica opština Crne Gore
2013-01
[25]
웹사이트
2011 Montenegrin Census
http://www.monstat.o[...]
Monsta
2011-07-12
[26]
URL
http://montenegrolin[...]
[27]
웹사이트
動画:中国の援助で「債務のわな」? 小国モンテネグロの巨額道路建設
https://www.afpbb.co[...]
AFP
2021-06-11
[28]
서적
Становништво, упоредни преглед броја становника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3, подаци по насељима
Републички завод за статистику
2005
[29]
웹인용
Climate: Ulcinj
http://195.66.163.23[...]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18-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